안녕하세요.
오늘은 기업의 '매입채무'와 '매입채무 연령'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매입채무' 많이들어 보셨겠지만.
기업의 고유 영업활동과 관련하여 외상으로 지금해야 하는 모든 비용이 '매입채무' 입니다.
제조업의 경우 원재료의 외상 매입과 관련된 금액과 외주가공비/외주용영비 등이 매입채무로 잡히며,
도/소매업을 하는 기업은 상품 등이 매입채무로 잡힙니다.
그럼 실제 재무재표를 통해서 확인해볼까요?
얼마전 공시된 '빅솔론'의 22년도 반기보고서를 보겠습니다.
(얼마전 빅솔론이라는 기업을 처음 알게되었는데, 장/단기 차입금이 없어서 좀 신기했습니다.--> 번외 이야기입니당^^)
DART라는 기업공시 사이트에 들어가셔서 '빅솔론' 기업명을 검색하시면 아래와 같이 반기보고서의 재무상태표를 확인하실수 있으십니다.
보시면 '부채' 계정에 '매입채무 및 기타유동채무' 약 147억이 있는것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조금더 구체적으로 확인하기위해 '연결재무제표 주석' 항목으로 들어가 주세요.
연결재무제표 주석에서 다시 '매입채무'를 검색하시면 , 앞에서 확인한 '매입채무 및 기타유동채무'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매입채무'가 98억 6천만원정도 있네요
투자자 입장에서 중요한 것은 기업이 보유한 매입채무를 잘 상환하고 있는지 확인해야하는것 입니다.
이걸 확인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가장 손쉽게 확인할수 있는 방법은 주석사항에 나오는 매입채무의 연령을 확인해보는 것입니다.
아래와 같이 모든 매입채무가 3개월 이하의 연령입니다.
모든 매입채무가 3개월 이하이니 일단은 크게 문제되어 보이지 않습니다만(확답할수 없습니다만..)
만약 3개월을 초과한 매입채무가 있다면 과거 재무제표를 살펴보면서 이 기업이 그동안 어떤 비중으로 매입채무를 관리해왔는지 비교해보면 현재 이 기업이 매입채무를 잘 관리하고 있는지 판단할수 있습니다.
이 정도의 정보로 만족하기 힘들다면 '평균매입채무회전일수'를 구해보는것도 방법인데 이건 제가 지난번 포스팅했던 글을 참고하시면 될것 같습니다.(링크 참고)
[재무제표]매출채권/재고자산/매입채무의 회전기간과 회전율
안녕하세요~ 오늘은 매출채권/재고자산/매입채무의 회전기간과 회전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마 재무제표를 조금 공부하신분이라면 위에서 말한 회전기간과 회전율에 대해서 들어본적
bbistory.tistory.com
자! 오늘은 이렇게 매입채무와 연령분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구요.
모두 성공투자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재무제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우발부채. 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 (0) | 2022.08.25 |
---|---|
[재무제표]상환우선주부채란? (0) | 2022.08.25 |
[재무제표]기업 분기/반기/사업 보고서의 결산기간과 공시시점 (0) | 2022.08.08 |
[재무제표]수주산업(건설,조선,플랜트,토목)의 매출액 처리 (0) | 2022.06.05 |
[재무제표]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인식 방법 (0) | 2022.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