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무제표 공부

[재무제표]지분법 회계 방법(토비스 기업 재무제표 예시)

by bbistory 2020. 10. 9.

자! 오늘은 지분법 회계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겠습니다.

그럼 지분법이란? 무엇이냐?

지분법을 알기 전에 우선 '관계기업'이라는 것을 알아 봅시다.

관계기업이란 투자회사 A사와 피투자회사(투자를 받는회사)B가 있을때.

1. A사가 B사의 지분을 20%이상 50%이하로 보유하고 있거나.

2. 20%이하로 보유하여도 A사 임직원이 B사 의사결정기구에 참여하거나.

3. A사가 B사에 필수적이고 중요한기술을 제공하고 있을때.

 

B사는 A사의 관계기업이라고 합니다.

지분법은..

이렇게 다른회사의 주식취득 등을 통해, 재무 의사결정이나 영업 의사결정에 중대한 영향력을 행사할수 있을때,

단순히 투자차익을 얻을 목적으로 매입한 주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회계처리를 하는데,

이 다른 회계처리 방법이 '지분법' 입니다.^^;; 

 

그럼 예시를 통해서 알아봅시당.

 

2020년 초에 A사는 B사 지분 50%를 3억원에 샀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러면 A사 재무제표와 손익계산서에는 다음과 같이 반영이 됩니다.

 

보시는바와 같이 '자산' 항목에서 현금이 3억 감소되고 그만큼 B사의 주식 3억이 증가하게 됩니다.

 

시간이 흘러 2020년 말에 B사가 당기순이익이 2억원 발생하였습니다.

그럼 A사의 재무제표에는 어떻게 반영이 될까요?

맞는습니다. A사는 B사의 지분을 50%를 갖고 있으니 B사의 당기순이익중 50%를 A사의 지분법이익으로 가져가게됩니다.

그러면 A사는 2억원의 50%인 1억원을 지분법이익으로 가져가게 되는 것이지요.

그럼 A사의 재무제표에는 어떻게 반영이 될까요?

그렇습니다. 하기와 같이 손익계산서의 수익항목에 지분법수익이란 계정으로 1억증가가되고 동시에 재무상태표의 B사주식에도 1억이 증가가되어 총 4억으로 B사주식은 평가가되게 됩니다.

 

 

 

그럼 반대의 경우를 생각해 볼까요?

B사가 2020년말에 2억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렇습니다. 마찬가지로 2억의 50%인 1억원의 손실을 A사의 재무제표에 하기와 반영해주면 됩니다.

 

이제 DART에서 실제 재무제표에서 찾아보시지요.

과거 제가 보유했던 '토비스'라는 회사의 지분법이익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20년도 반기보고서)

그럼 먼저 '토비스'의 관계회사를 살펴 보겠습니다.

20년도 반기보고서의 연결재무제표 주석으로 가보시면...

관계회사는 '해피스토어'와 '네오씨엠' 두회사가 있네요.

밑에 '지분법손익'을 보시면 '해피스토어'는 손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13685000원 손실...

(슬프네요...제가 예전에 투자했던 회사인데...ㅠㅜ)

 

이게 손익계산서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수 있을겁니다.

 

어떠셨나요? 도움이 좀 되셨나요?

저의 짧은 지식이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라겠습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하구요.

모두 성공 투자 하십시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