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제표 공부23 [재무제표]미지급금과 미지급비용 오늘은 미지급금과 미지급비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에 포스팅된 글을 보시면 미수금과 미수수익에 대한 글이 있을텐데요. 미지급금과 미지급비용도 비슷한 맥락에서 보시면 됩니다. 미지급금은 기업이 주된영업활동 외에서 발생한 금액이 확정된 채무입니다. 예를들어 현대자동차가 자동차의 원재료를 구매할때 발생된 채무는 매입채무이고, 자동차를 만들기위한 기계장치를 구매할 때 발생한 채무는 미지급금이 되는 것이지요. 미지급금이 자산 규모대비 너무 크다면 유형자산 증가 쪽을 확인하는 식으로 맞춰 분석해보는게 좋습니다. 미지급금이 갑자기 증가했다면 기업의 자금 결제 스케줄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일수 있으니, 다음 분기 때 분기보고서를 통해 정상적인 평년 수준으로 돌아왔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그렇다면 미지급비용은 무엇일까.. 2020. 10. 25. [재무제표]미수금과 미수수익 오늘은 미수금/미수수익과 미지지급금/미지급비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미수금입니다. 미수금이란 기업이 주된 영업활동이 아닌 영업활동 이외의 거래에서 발생한 미수채권을 말합니다. 예를들어, 현대 자동차의 경우 주된 영업활동인 차를 팔아서 벌어들인 돈이 아닌, 자동차 제작 설비의 매각거래해서 발생한 미수채권이 바로 그것 입니다. 그렇다면 미수수익은 또 무엇일까요? 미수금이 금액이 확정된 채권이라고 한다면, 미수수익은 수익이 기간에 비례에 창출되는 것들을 말합니다. 예를들면 이런 겁니다. 현대자동차에서 2020년 7월 1일에 1억원짜리 연 10% 정기예금에 가입했다고 가정해 보죠.(연 1회 결산으로 가정) 그럼 2020년 12월 31일 결산시 이 정기예금의 회계처리는 어떻게 될까요? 1년짜리 정기예금에.. 2020. 10. 24. [재무제표]선수금과 선급금의 회계처리 오늘은 선수금과 선급금의 회계처리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결론을 먼저 말씀드리면, 선수금은 먼저 '부채'로 처리하고 향후 매출로 처리. 선급금은 먼저 '자산'으로 처리하고 향후 비용으로 처리합니다. 선수금은 보통 '착한 부채'라고하는데요. 그렇게 말하는 이유는 이 선수금이라는 녀석이 '부채의 성격'을 띄고 있기 때문입니다. '부채'란 미래에 갚아야 할 금액이나 회사가 소유하고 있는 자원을 사용해 이행해야 할 의무를 말합니다. 선수금이란 녀석도 돈을 먼저 받았으니 이행해야하는 의무가 당연히 있겠죠? 그래서 처음엔 이 선수금을 부채로 인식하게 됩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부채로 남아있는게 아니라, 향후 매출로 전환이 되게 됩니다. 그래서 다른 부채처럼 위험성이 있는 부채가 아닌 '착한 부채'로 불리게 되는 것입니.. 2020. 10. 23. [재무제표]손익계산서 작성 흐름 오늘은 손익계산서의 작성흐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간단히 보여드리면 하기와 같습니다. 매출액 (-) 매출원가 --------------------------- = 매출총이익 (-) 판매비 및 관리비 --------------------------- = 영업이익 (-) 영업외 비용(금융비용, 기타비용) (+) 영업외 수익(금융수익, 기타수익) --------------------------- = 법인세차감전이익 (-) 법인세 --------------------------- = 당기순이익 설명을 좀 드리자면,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빼주면 '매출총이익'이 되고, 매출총이익에서 판매비 및 관리비를 빼주면 '영업이익'이 됩니다. 여기서 다시 영업외 비용을 빼주고, 영업외 수익을 더해주면 '법인세차감전이익'이.. 2020. 10. 23.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