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손익계산서2

[재무제표]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인식 방법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인식 방법 1. 종속기업투자 주식 - 인식조건 : 지분율 50% 이상 - 주식의 가격변동 : 재무제표상에 인식하지 않음 - 종속기업의 실적(당기순이익) : 연결손익계산서에 반영 별도손익계산서에 미반영 2. 관계기업투자 주식 - 인식조건 : 지분율 20%~50% - 주식의 가격변동 : 재무제표상에 인식하지 않음 - 관계기업의 실적(당기순이익) : 연결손익계산서에 반영 별도손익계산서에 미반영 개별손익계산서에 미반영 3. 매도가능 증권 - 인식조건 : 지분율 20% 미만 - 주식의 가격변동 : 재무제표상에 인식함 -->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 - 매도가능 증권(기업)의 실적(당기순이익) : 인식하지 않음 4. 단기 금융자산 - 인식조건 : 지분율 20% 미만 - 주식의 가격변동 .. 2022. 6. 4.
[재무제표]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관계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업 재무제표에 나오는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드려보려고 합니다. Dart 사이트에서 기업 재무제표를 보면 1. '재무상태표'가 먼저나오고 2. 그 다음 '손익계산서'가 나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2022년도 1분기보고서가 있다고 한다면 분기보고서의 재무제표에는 2022년도 1분기의 재무상태표와 2022년도 1분기의 손익계산서가 있게 됩니다. 그럼 2022년도 1분기의 손익계산서는 2022년도 1분기의 자산을 가지고 만들어진 결과일까요? 정답은? No입니다!! 그 이유는 아래 그림을 보시면 쉽게 알수 있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22년도 1분기의 자산으로 22년도 1분기의 손익계산서가 만들어진게 아니라, 반대로 22년도 1분기의 손익계산서의 결과로 22년.. 2022.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