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지급금2 [재무제표]미지급금과 미지급비용 오늘은 미지급금과 미지급비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에 포스팅된 글을 보시면 미수금과 미수수익에 대한 글이 있을텐데요. 미지급금과 미지급비용도 비슷한 맥락에서 보시면 됩니다. 미지급금은 기업이 주된영업활동 외에서 발생한 금액이 확정된 채무입니다. 예를들어 현대자동차가 자동차의 원재료를 구매할때 발생된 채무는 매입채무이고, 자동차를 만들기위한 기계장치를 구매할 때 발생한 채무는 미지급금이 되는 것이지요. 미지급금이 자산 규모대비 너무 크다면 유형자산 증가 쪽을 확인하는 식으로 맞춰 분석해보는게 좋습니다. 미지급금이 갑자기 증가했다면 기업의 자금 결제 스케줄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일수 있으니, 다음 분기 때 분기보고서를 통해 정상적인 평년 수준으로 돌아왔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그렇다면 미지급비용은 무엇일까.. 2020. 10. 25. [재무제표]미수금과 미수수익 오늘은 미수금/미수수익과 미지지급금/미지급비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미수금입니다. 미수금이란 기업이 주된 영업활동이 아닌 영업활동 이외의 거래에서 발생한 미수채권을 말합니다. 예를들어, 현대 자동차의 경우 주된 영업활동인 차를 팔아서 벌어들인 돈이 아닌, 자동차 제작 설비의 매각거래해서 발생한 미수채권이 바로 그것 입니다. 그렇다면 미수수익은 또 무엇일까요? 미수금이 금액이 확정된 채권이라고 한다면, 미수수익은 수익이 기간에 비례에 창출되는 것들을 말합니다. 예를들면 이런 겁니다. 현대자동차에서 2020년 7월 1일에 1억원짜리 연 10% 정기예금에 가입했다고 가정해 보죠.(연 1회 결산으로 가정) 그럼 2020년 12월 31일 결산시 이 정기예금의 회계처리는 어떻게 될까요? 1년짜리 정기예금에.. 2020. 10.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