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6 [재무제표]기업 분기/반기/사업 보고서의 결산기간과 공시시점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기업의 분기/반기/사업 보고서별 결산 기간과 공시 시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략은 알고 있어도 막상 정확히 생각나지 않을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분 결산 기간 누적 기간 보고서 종류 보고서 공시 시점 1분기 1/1~3/31 1/1~3/31 분기보고서 4월~5월 2분기(반기) 4/1~6/30 1/1~6/30 반기보고서 7월~8월 3분기 7/1~9/30 1/1~9/30 분기보고서 10월~11월 4분기 10/1~12/31 1/1~12/31 사업보고서 1월~3월 2022. 8. 8. [기업분석]한국조선해양의 종속기업 알아보기 주식관련 뉴스를 보다보면 가끔 '종속기업'이라는 말이 등장합니다. 그런데 한 기업의 종속기업을 어떻게 알수 있을까요? 그래서 오늘은 한국조선해양이라는 기업을 예로들어 DART라는 Site를 활용해 그 기업의 종속기업을 찾아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한국조선해양이 갖고 있는 기업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DART라는 기업공시사이트에 접속해야합니다. 여기서 '한국조선해양'을 검색하시면 아래 그림과 같이 이 기업이 그동안 해온 공시들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정기공시'에 체크해주시고, '분기보고서'를 클릭해주시면 지분법이 적용되는 기업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분기보고서를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이 '회사의 개요'라는 항목이 보이실겁니다. 그걸 다시 클릭해주시면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이라는 말과 표가 보이.. 2022. 8. 7. [재무제표]미수금과 미수수익 오늘은 미수금/미수수익과 미지지급금/미지급비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미수금입니다. 미수금이란 기업이 주된 영업활동이 아닌 영업활동 이외의 거래에서 발생한 미수채권을 말합니다. 예를들어, 현대 자동차의 경우 주된 영업활동인 차를 팔아서 벌어들인 돈이 아닌, 자동차 제작 설비의 매각거래해서 발생한 미수채권이 바로 그것 입니다. 그렇다면 미수수익은 또 무엇일까요? 미수금이 금액이 확정된 채권이라고 한다면, 미수수익은 수익이 기간에 비례에 창출되는 것들을 말합니다. 예를들면 이런 겁니다. 현대자동차에서 2020년 7월 1일에 1억원짜리 연 10% 정기예금에 가입했다고 가정해 보죠.(연 1회 결산으로 가정) 그럼 2020년 12월 31일 결산시 이 정기예금의 회계처리는 어떻게 될까요? 1년짜리 정기예금에.. 2020. 10. 24. [재무제표]선수금과 선급금의 회계처리 오늘은 선수금과 선급금의 회계처리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결론을 먼저 말씀드리면, 선수금은 먼저 '부채'로 처리하고 향후 매출로 처리. 선급금은 먼저 '자산'으로 처리하고 향후 비용으로 처리합니다. 선수금은 보통 '착한 부채'라고하는데요. 그렇게 말하는 이유는 이 선수금이라는 녀석이 '부채의 성격'을 띄고 있기 때문입니다. '부채'란 미래에 갚아야 할 금액이나 회사가 소유하고 있는 자원을 사용해 이행해야 할 의무를 말합니다. 선수금이란 녀석도 돈을 먼저 받았으니 이행해야하는 의무가 당연히 있겠죠? 그래서 처음엔 이 선수금을 부채로 인식하게 됩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부채로 남아있는게 아니라, 향후 매출로 전환이 되게 됩니다. 그래서 다른 부채처럼 위험성이 있는 부채가 아닌 '착한 부채'로 불리게 되는 것입니.. 2020. 10. 23. 이전 1 2 다음